728x90
반응형
서울시가 준비한 자립 기반과 맞춤형 지원 총정리
보호시설에서 퇴소하는 청소년과
사회와 단절된 고립·은둔 청년들.
이들은 자립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주거·일자리·심리적 지원이 절실합니다.
서울시는 2025년부터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확대와
고립·은둔청년 맞춤형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들의 안정적 사회 진입과 자립을 돕고 있습니다.
✅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이란?
보호종료아동은 아동양육시설·위탁가정·쉼터 등을 퇴소한 만 18세 이상 청년을 말합니다.
서울시는 이들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매월 자립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 지원 내용
- 자립수당: 월 30만 원 (최대 5년 지원 가능)
- 주거 지원: 임대주택 우선 공급 + 주거비 일부 지원
- 자립 교육: 금융관리, 직업훈련, 취업 컨설팅 제공
📌 신청 대상
- 서울시 내 보호시설 퇴소 후 5년 이내 청년
- 만 18세 ~ 24세 이하
- 다른 정부 자립수당과 중복 수급 가능
📝 신청 방법
1️⃣ 서울시 청소년 포털 접속
2️⃣ ‘보호종료아동 자립지원’ 메뉴 선택
3️⃣ 온라인 신청서 작성 → 심사 후 지급
✅ 고립·은둔청년 맞춤형 지원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고립·은둔 상태의 청년은 1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심리적 고립, 경제적 취약, 사회적 단절이라는 3중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 지원 내용
- 심리 상담: 전문 상담사 1:1 매칭, 온라인·대면 심리치료 지원
- 맞춤형 일자리: 재택 근무, 시간제 근로 중심의 취업 연계
- 주거 지원: 단기 쉐어하우스, 긴급 주거비 지원
- 생활비 지원: 참여 프로그램 수료 시 월 최대 50만 원
📌 신청 대상
-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34세 고립·은둔 청년
- 최근 6개월 이상 교육·직업 활동 중단 상태
📝 신청 방법
1️⃣ 서울시 청소년 포털 접속
2️⃣ ‘고립·은둔청년 지원’ 신청 → 초기 상담 → 맞춤형 프로그램 배정
💡 두 제도의 공통점
✔️ 경제적 지원 + 심리·주거·취업까지 통합 서비스
✔️ 서울시 청소년 포털에서 원스톱 신청 가능
✔️ 지속적인 사후 관리와 멘토링 제공
✨ 마무리 요약
항목내용
대상 | 보호종료아동(퇴소 후 5년 이내) / 고립·은둔청년 |
지원금 | 자립수당 월 30만 원 / 생활비 월 50만 원 |
서비스 | 주거, 심리, 맞춤형 일자리 지원 |
신청처 | 서울시 청소년 포털 |
장점 | 온라인 간편 신청 + 지속적인 사후 지원 |
728x90
반응형
'청년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창업, 서울시가 든든하게 지원합니다! (1) | 2025.07.27 |
---|---|
청년 마음건강 지원, 서울시가 함께합니다! (0) | 2025.07.26 |
청년 참여 플랫폼, 기회는 여기서부터! (1) | 2025.07.26 |
청년인생설계학교 & 청년문화예술패스 (2) | 2025.07.26 |
2025년 AI 면접체험 & 취업날개(정장대여) 서비스 총정리 (0)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