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꼭 해야 할 3가지 준비
"자소서를 써야 하는데... 막막해요."
이런 분들을 정말 많이 만납니다.
그런데 사실, 자소서를 못 쓰는 이유 중 절반은
**‘준비가 부족해서’**입니다.
오늘은 글을 쓰기 전 반드시 해야 할 3가지 준비를 안내해드릴게요.
✅ STEP 1. 내가 원하는 기업과 직무 분석
막연히 “괜찮은 회사에 취업하고 싶다”는 생각으로는 자소서가 써지지 않습니다.
📌 준비 팁:
- 기업 홈페이지 또는 채용 공고에서 확인할 것:
→ “조직 문화”, “주요 업무”, “필요 역량” - 실제 직무가 어떤 일인지 검색해보기
- 유사 직무의 자소서 문장 비교해보기
👉 이 단계에서 얻은 정보는 **‘지원동기’와 ‘입사 후 포부’**에서 핵심 재료가 됩니다.
✅ STEP 2. 나의 경험과 강점 키워드 뽑기
좋은 자소서에는 항상 **‘진짜 나의 이야기’**가 들어갑니다.
🧠 자가 질문 리스트:
- 내가 가장 열정을 가졌던 경험은?
- 어려운 일을 해결했던 순간은?
- 주변에서 자주 듣는 나의 장점은?
- 실패를 겪고 배운 경험은?
→ 이 답변에서 지원 직무와 연결 가능한 키워드를 추출하세요.
예: 책임감, 협업, 데이터 정리, 갈등 조정 등
✅ STEP 3. 자기소개서 뼈대(틀) 만들기
쓰면서 생각하지 마세요.
먼저 틀을 정리해두면 훨씬 수월합니다.
📝 기본 구조 예시:
- 첫 문장 – 나를 설명하는 강점/경험
- 본문 ① – 관련 경험 1 (문제 상황, 해결 방법, 결과)
- 본문 ② – 관련 경험 2 또는 역량 확장
- 마무리 – 직무와 연결된 나의 각오 or 포부
👉 이 구조는 대부분의 자소서 항목(성장과정, 성격의 장단점, 지원동기)에 응용 가능합니다.
💬 상담사가 전하는 실전 조언
자기소개서는 **‘잘 쓰는 글’이 아니라 ‘잘 준비된 글’**입니다.
문장이 예뻐도 내용이 공허하면 탈락이고,
글이 투박해도 진짜 경험이 담기면 통과됩니다.
글을 잘 쓰는 것보다
글을 쓰기 전, 나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다음 글 예고
👉 [7편] 지원 동기/입사 후 포부 쓰는 공식
막막한 입사 포부 문장, 이제 공식으로 풀어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