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청년도약계좌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소득이나 연령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신청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불가 사례와 예외 조건을 중심으로 2025년 기준 신청 제한 내용을 총정리합니다.
주요 신청 제한 대상
1. 소득 요건 미달 또는 초과
- 소득이 없는 경우 (근로/사업소득 無)
- 연 총급여 7,500만 원 초과자 (세전 기준)
- 사업소득자 기준 연 수입 6,300만 원 초과
2.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연 금융소득(이자+배당) 2,000만 원 초과 시 신청 불가
- 일반적인 직장인보다는 자산가나 투자 수익자 대상
3. 청년희망적금 가입 중인 경우
- 중복 가입 불가
- 희망적금 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
4. 과거 제도 중도 해지 이력자
- 동일 정책 상품을 최근 3년 이내 중도 해지한 경우 제한될 수 있음
5. 가구원 동의 미완료
- 가구소득 확인을 위해 가구원의 정보 제공 및 인증 동의 필수
- 동의 미완료 시 자격 요건 검토 자체가 불가능
예외 적용 가능한 사례
- 병역이행자: 나이 기준 초과자라도 병역 기간만큼 연장 인정
- 신청 후 소득 증가: 신청 시점 기준으로 판단, 이후 소득 증가는 무관
- 희망적금 만기자: 기존 만기 수령자는 청년도약계좌 신규 신청 가능
신청 제한 여부 확인 방법
- 은행 앱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사전 자격 조회 가능
-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소득·가구 정보 자동 연동 검토
- 가구원 동의 필요 시 알림 발송됨
마무리하며
청년도약계좌는 지원 조건이 까다로운 만큼 신청 제한 대상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예외나 특례 조항도 존재하므로,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신력 있는 경로를 통해 자격 여부를 먼저 확인해보는 것이 현명한 첫걸음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