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대학생 청소년 교육지원사업(대청교)을 수료한 뒤, 바로 국민취업지원제도(국취제)에 신청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최신 매뉴얼 기준으로 신청 가능 시기와 유예기간 여부를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대청교 수료 직후 신청 가능 여부
국민취업지원제도 매뉴얼에 따르면, 대청교는 ‘월평균 50만 원 이상 또는 총 300만 원 이상 지원하는 사업’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총 수당이 300만 원 미만이면 유예기간 없이 Ⅰ유형에 바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50만 원씩 5개월(총 250만 원)을 받았다면 수료 직후 곧바로 국취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2. 6개월 유예가 필요한 경우
다만 예외적으로 장기 프로그램(25주 이상) 수료자 중,
- 월 50만 원씩 5개월(250만 원) + 구직활동 인센티브 30만 원을 받아 총 300만 원이 된 경우
에는 Ⅰ유형 신청 전 6개월 유예기간을 거쳐야 합니다.
즉, 수당 총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거나 동일한 경우에만 유예가 적용됩니다.
3. 신청 전 체크리스트
- 총 수당 금액 확인: 대청교 수당 + 인센티브 합산 금액
- 유예기간 여부 판단: 300만 원 이상이면 6개월 대기
- Ⅰ유형 자격 조건 확인: 소득·재산·취업 취약계층 요건
- 고용센터 상담 예약: 수료 직후 신청 시 필수
4. 정리
✅ 300만 원 미만 → 수료 직후 즉시 신청 가능
✅ 300만 원 이상 → 6개월 유예 후 신청 가능
💡 대부분의 대청교 참여자는 총액이 300만 원 미만이라 바로 신청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Tip
수료 직후 신청하려면 미리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서, 소득·재산 증빙 서류를 준비하고, 고용센터 상담 예약을 해두면 승인 절차가 빨라집니다.
또한 2025년부터 일부 참여 조건과 수당 기준이 변경되었으니, 최신 매뉴얼을 꼭 확인하세요.
728x90
반응형
LIST
'국민취업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구직촉진수당, 전화 못 받았을 때 처리 방법 (1) | 2025.08.13 |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 근로계약서 분실 시 대체서류 발급·신청 방법 총정리 (3) | 2025.08.12 |
국민취업지원제도 가구원 기준과 제외 사유 총정리|형제·자매 포함 여부·신청 시 주의사항 (1) | 2025.08.11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재신청 가능 시기와 조건 총정리|구직촉진수당 재참여기간 안내 (3) | 2025.08.11 |
국민취업지원제도 사후관리 기간, 미래내일 일경험 인턴 참여 조건과 절차 완벽 정리 (2) | 2025.08.10 |
국민취업지원제도 중단 후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 가능? 불이익까지 완벽 정리 (4) | 2025.08.10 |
국민취업지원제도 중단하면? 재참여 제한·불이익 총정리 (1) | 2025.08.10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인데 훈련비 전액 지원이 아니라고요? (2) | 2025.08.10 |